알고리즘 2

[CS] DFS와 BFS

오늘의(라고 하지만 2달만에 쓰는) 알고리즘 주제는 바로 BFS와 DFS 이유는 모르겠지만 가장 어렵게 느껴지고,항상 마스터하지 못한채 포기한 개념이었던 거 같은데...이제는 더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 우선 쉽게 어떤 느낌인지 파악해보자면 미로를 생각하면 된다.그런데 이제 내가 이 미로 안에 들어가 있고, 출구와 전체적인 지도도 모를 때이 미로를 푸는 방법은 두 가지다 1. 무작정 한 길로 쭉 가다가 막히면 다시 되돌아오기 => DFS!2. 갈림길이 나오면 갈 수 있는 모든 곳을 다 훑어보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=> BFS! 이 느낌을 가지고 DFS와 BFS를 좀 더 알아보자. 🗺️ DFS 깊이 우선 탐색, Depth-First-Search 원문 그대로 'Depth = 깊이'를 우선적으로 탐색하..

TIL/알고리즘 2025.06.07

[CS]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

코딩 테스트, 알고리즘 공부를 하면서 가장 먼저 마주치는 개념이시간복잡도(Time Complexity)와 공간복잡도(Space Complexity)이다.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하는 것을 넘어 얼마나 빠르고 효율적으로 해결했는지가 중요하기 때문!실제로 어려운 문제로 넘어갈수록 정답은 다 맞아도 시간 초과가 뜨는 경우가 허다하다그것은 나의 경험 본격적인 알고리즘 스터디를 진행하기 전,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에 대해 한 번 더 정리하고자 한다.  1. 시간복잡도(Time Complexity)시간복잡도는 입력 크기(n)에 따라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.쉽게 생각했을 때 최악의 경우 걸리는 연산 횟수의 증가율을 나타낸 것이다.최악의 경우를 기준으로, 'Big-O 표기법'을 사용하..

TIL/알고리즘 2025.03.31